출판물 Publication

한국현대건축의 기록

안영배 구술집

목천건축아카이브 한국현대건축의 기록2

안영배 구술집

채록연구 | 배형민, 우동선, 최원준

진행 | 목천건축아카이브

출판 | 마티, 2013-12-01

288쪽 170*230mm | ISBN: 9788992053839

살아 있는 역사현대건축가 구술채록 시리즈를 시작하며

『안영배 구술집』을 펴내며

01 주택 설계와 미국 연수

02『새로운 주택』과 건축 기행

03 국회의사당 설계 과정

04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05 교직 생활

06 작품 활동

약력

찾아보기

이 책은 안영배 선생의 구술채록문이다. 이하에서는 목천건축아카이브의 구술채록 사업과 이 구술채록문의 배경과 작성과정 등에 대하여 조금 기술해두고 싶다.

목천건축아카이브 운영위원회는 김정식 회장에 대한 구술채록을 2010년에 마친 뒤에, 다음 대상자로 안영배 선생을 선정하였고 2011년에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운영위원회는 건축도면과 구술채록을 통하여 한국현대건축사를 재구축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바, 우선 1930년대에 출생하여 1950년대에 대학을 졸업한 분들을 그 대상으로 삼기로 합의한 바가 있었다. 이 분들은 1960년대~1980년대의 이른바 한국의 근대화・산업화로 생겨난 건축 수요를 만끽하면서 한국 건축계를 개척하고 견인해온 세대에 속한다. 적수공권(赤手空拳)의 신진이 건축을 기예로 삼아 자아를 실현하고 또 사회에 공헌해 나가는 극적인 과정은 결코 소설이나 희곡에 못하지 않았다. 하는 일마다 새롭게 공부하고 도전하는 과정이 연속되는 셈이었다. 김정식 회장과 안영배 선생의 구술채록문이 그러하며, 후속 작업으로 진행한 2012년의 윤승중 선생과 2013년의 원정수 선생의 구술채록이 그러하다. 한 분 한 분의 증언을 토대로 한국현대건축사의 보완이나 재고가 가능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주지하듯이, 안영배 선생은 건축의 이론과 실무를 두루 겸비한 분이다. 이론으로는 『새로운 주택』(공저, 초판, 1964: 개정신판 1978), 『한국건축의 외부공간』(1980), 「한국불사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1984)가 널리 알려져 있다. 『새로운 주택』은 1960년대 중반에 거의 유일하게 주택설계를 다룬 단행본으로 당시 건축학도들의 교과서였으며, 『한국건축의 외부공간』은 전통 해석의 논점을 형태에서 공간으로 바꾸어 놓은 역작으로 베스트셀러였고 한국건축의 공시적 연구라는 서평을 받았다. 이후에도 『+산조』(1997), 『인도건축기행』(2005), 『흐름과 더함의 공간』(2008)을 저술하여, 한국건축의 외부공간론을 심화시키면서 또 그 외연(外延)을 중국건축과 인도건축으로 확장하였다. 실무로는 1955년에 대학을 졸업한 뒤에, 여러 현상설계 공모전에 응모하여 「국회의사당 설계경기(남산)2위 입상(합작, 1959)과 「국회의사당 설계경기(여의도)1위 입상(합작, 1968)과 같이 뛰어난 성과를 줄곧 거두었다. 27세에 국가 프로젝트에서 쟁쟁한 건축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36세에 일국의 상징인 국회의사당의 설계자가 되는 것은 21세기에는 있음직해 보이지도 않는 일이다. 한편으로는 주택, 교회, 학교 등의 설계 작업에서 꾸준한 활동을 보였다. 선생은 요란한 미사여구를 사용하지 않는건축가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또 교육자로서 서울공대, 경희대, 서울시립대에 재직하면서 여러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이 구술채록은 20111, 2월에 대략 2주에 한 번 꼴의 빈도로 5회를 진행하였고, 9월에 총정리를 하는 1회를 진행하였다. 6회의 구술채록은 안영배 선생의 용두동 자택에서 진행하였다. 선농단 맞은편에 자리한 빌라 3층 서재에서 선생의 말씀을 새록새록 들던 때가 생각난다. 청량리 앞길의 굉장한 소음이 선생 댁 앞길로 접어들면 전혀 들리지 않은데다가, 선생의 말씀이 주변 환경에 더해져 채록자들은 마치 1980년대의 응답을 받은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채록자들은 앞서 말한 안영배 선생의 실무와 이론, 교육을 중심으로 시간 순으로 선생의 말씀을 듣되, 이미 발간된 『안영배 건축작품집 1955-1995(1995)에 없는 내용을 많이 들을 수 있기를 바랐다. 미국 유학, 개개 주택에 대한 설명, 저술의 전후 사정, 국회의사당 현상 설계의 내막, 세 대학을 거친 이유 등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한 말씀을 들을 수가 있었다. 그렇지만 제1회에서 제5회까지는 대학 입학 이전의 말씀을 거의 듣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제6회의 보충에서 선생은 중학교 때를 언급하셨고, 해주에서 전학 온 얘기와 중학교 생활, 부모님에 대한 말씀을 하셨다. 아무래도 간난신고(艱難辛苦)를 많이 겪으신 분이라서 그에 관한 말씀을 되도록 삼가시는 것이라고 짐작한다. 이 점이 또한 안영배 선생을 이해하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구술채록문은 매회의 구술채록을 마치면 바로 바로 작성하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그런데 구술자가 채록문을 확인하기를 원해서 담당자가 채록문을 전해드렸다. 구술자는 매우 성심껏 채록문을 윤문하고 가감하였다. 어떤 부분에는 새로운 내용이 덧붙여졌고, 또 어떤 부분에는 논리가 정연해졌다. 이를 놓고서 운영위원회는 논의를 거듭하였다. 이는 또 이 책의 발간이 다소 지체된 이유의 하나이기도 하다. 이전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한 문화예술인들에 대한 구술채록 사업 중에서 건축가들을 대상으로 한, 『장기인』(2004), 『엄덕문』(2004), 『이광노』(2005), 『박춘명』(2006), 『송민구』(2006)의 구술채록문은 가급적 구술자의 구술을 그대로 채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그래서 구술채록문만으로도 구술자의 말버릇이나 습성이 전해지기를 기대하였다. 이는 초기의 사업을 주관하며 민중생활사에서 확립된 방법론을 예술사에 적용하기를 바랐던 이인범 교수 등의 의욕에 기인하는 바가 컸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판() 구술채록문은 그 나름대로의 성격과 장단점을 갖고 있을 터이다. 2003년에서 2011년까지 생애사 137, 주제사 88, 225명의 예술가들에 대한 구술채록이 진행되었지만, 2007년 이후에 조직이 바뀌고 사업의 주관과 성격이 바뀌면서 건축가들은 그 대상에서 완전히 배제되어 버렸다.

운영위원회는 보다 정연하고 보다 좋은 글을 남기고 싶다는 원로 건축가의 뜻을 저버리기가 어려웠고, 회의를 거듭 진행하는 동안에 이미 구술자의 성실한 노력으로 구술채록문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추구한 원칙으로는 결코 돌아갈 수가 없는 상태가 되었다. 그렇지만 민중생활사와 예술사는 성격이 다소 다를 수 있는 것이며, 구술과정을 채록한 동영상이 별도로 존재하므로 원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독자들은 그것을 확인하면 되는 것이고, 이 구술채록문은 가독성을 높이고 자료를 보완한 것이라고 보면 좋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해석도 있을 수 있었다. 그러한 예로는 로버트 A. M. 스턴(Robert A. M. Stern)이 인터뷰한 『더 필립 존슨 테입즈 The Philip Johnson Tapes(2008)를 을 수 있다. 그 책은 주제별로 인터뷰 내용을 재편집한 것이다. 독자들께서는 이 구술채록문이 이러한 사정을 거쳐 작성된 것이라는 점을 감안해주시기를 바란다.

이 구술채록문의 생산과 편집・제작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은 관계자들 모두에게 감사하며, 출간의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 독자들께서는 이제 본문을 읽어주시기를 바란다. 한국현대건축사를 이론과 실무와 교육에서 개척하고 견인해온 한 건축가의 모험적 일대기가 눈앞에 생생히 펼쳐질 것이다.

201310
목천건축아카이브 운영위원
우동선